대한민국 중고 거래의 대명사인 중고나라의 전설. 게임기를 샀는데 택배 박스를 열어 보니 벽돌이 들어 있었어요. 잡아도 잡아도 또 나타나는 사기꾼들 덕에 이제는 온라인 중고 거래자 상당수가 다음과 같은 문구를 적어 둔다. 직거래만 합니다.

조경호 감독/각본의 〈거래완료〉(2021)는 바로 이 직거래를 다룬 영화로, 총 다섯 건의 ‘거래완료’를 보여 준다. 승부 조작에 관여했다가 방출된 전직 야구 선수 광성(전석호 분), 서울대가 목표지만 수학 5등급인 재수생 민혁(복권일 분), 친구의 사형을 집행해야 하는 운명에 처한 교도관 수정(이규현 분), 사형 집행 전 추억의 게임 마지막 스테이지를 깨고 싶은 우철(조성하분), 책과 함께 오래된 꿈을 포기하려는 석호(태인호 분). 이들은 각자의 사정으로 무언가를 팔거나 사고 있다. 짧든 길든 사람과 시간을 함께한 물건에는 마음이 깃들기 마련. 미처 다 태우지 못한 광성의 열정은 재하(임승민 분) 에게로 이어지고, 수능까지 30일을 남겨 둔 민혁의 조바심은 잠에 들고 깨는 시간을 조절하는 스위치 구매를 통해 그를 예지(채서은 분)와 이어 준다. 친구를 죽이느니 로커가 되고 싶었던 수정은 기타 구매를 통해 교형(이교형 분)의 밴드와 엮이게 되고, 진실의 관문을 넘고 싶은 나나(최희진 분)의 집념은 우철의 바람과 만나 흩어진 듯 보였던 이야기들을 한 갈래로 엮어낸다. 책 대신 팔린 석호의 ‘이야기’는 가영(엄서현 분)의 소설이 되어 우리가 이 영화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는 코드로 기능한다.

다시 말해, 거래자들은 단순히 물품과 돈을 교환하는 것이 아니라 그 구매와 판매에 담긴 사연을 교환하고 있다. 따라서 영화는 동명의 제목을 지닌, 우리에게 이야기의 매체로서 가장 익숙한 소설 표지의 형태로 시작된다. 영화에 등장하는 다섯 건의 중고 거래는 서로 독립적이지만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첫 번째 에피소드에서 구매자의 가족으로 등장한 석호가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판매자로 다시 등장한다거나 두 번째 에피소드의 판매자인 예지에게서 세 번째 에피소드의 구매자인 오빠 수정에게로 영화의 초점이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식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직접적으로 내용이 이어지지는 않지만 동일한 인물이 등장해 느슨한 연결 관계를 가지는 연작 소설의 구조와 닮았다. 실제로 영화에서 에피소드의 전환 또한 오프닝에서 등장한 소설의 페이지를 넘기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물품 거래가 끝났음을 알리는 ‘거래완료’ 댓글과 좋은 거래였다는 인물들의 내레이션도 빠지지 않는다.)

그렇다면 왜 책인 걸까. 이야기를 다룬다는 점에서 영화와 닮았으나 결정적으로 책이 영화와 다른 점은 만질 수 있고 그러므로 누군가와 주고받을 수도 있는 물건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오래된 이야기에는 새로운 이야기가 쌓인다. 이것은 매체와 무관하게 모든 이야기에 일어나는 일이지만 영화에 쌓이는 이야기를 영화라는 매체 자체적으로는 표현할 길이 없는 반면, 개인이 소유하는 책에 쌓인 이야기들은 색이 바랜 책등이라든지 겉면에 쓰인 이름과 같은 방식으로 풍부하게 표현된다. 책이 거래 물품으로 등장하는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석호와 지숙(최예빈 분)이 책을 팔기를 망설이는 이유 또한, 오랜 시간 함께 하며 이야기를 쌓아 올린 책을 파는 것이 그동안 간직해 온 석호의 꿈을 파는 것이나 마찬가지가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왜 책인가? 조금 더 영화를 깊이 살펴보자. 석호와 지숙은 책을 팔지 않기로 결정하고, 가영의 아버지(이원종 분)는 물건 값을 그대로 지불하는 대신 오늘의 거래 이야기를 소설로 쓸 수 있도록 딸에게 팔아 달라고 제안한다. 제안을 받은 두 사람은 더없이 이상한 행동을 하나 하는데 ,바로 카메라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에서 배우가 카메라를 응시하는 것, 그래서 관객과 시선을 마주하는 것은 금기로 취급된다. 그 순간 이야기의 등장인물과 시선을 마주친 것이 되어 이야기에 대한 관객의 몰입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이 장면이 쓰인 방식은 그것과 다르다. 이 영화에서 다루고 있는 중고 거래의 특성에 따라, 이 장면은 영화와 관객 사이의 몰입 관계를 깨뜨리는 대신 무언가를 사고파는 거래자로서 그들의 관계를 재규정한다. 즉 책과 달리 물질로서 고정된 신체가 없는 영화를 거래의 당사자이면서 거래 대상으로 만들기 위해 영화는 책의 형태를 빌려 오는 것이다.

영화에 등장하는 거래는 모두 판매자와 구매자가 명확하지만, 영화와 관객 사이의 관계는 거래자로서 다시 규정하더라도 판매와 구매의 입장이 모호하다. 그것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이다. 관객은 시간으로 영화가 선사하는 희로애락을 산다. 넘칠 만큼 관객의 시간을 산 영화는 오래도록 기억된다. 셀룰로이드 필름이 아세테이트 필름으로 대체되고, 그 필름마저 디지털로 대체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진 뒤에도 〈시네마 천국〉(쥬세페 토르나토레, 1988)이 우리에게 주는 감동이 여전히 유효하듯이. 영화 속의 토토가 자신만을 위해 이어 붙인 알프레도의 필름을 보며 눈물을 흘리듯이 말이다. 거래는 끝났다. 이제 영화가 구축한 거래의 법칙을 따를 때다. 〈거래완료〉, “좋은 거래였습니다.”

글 서연재